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

전집 매출 향상을 위한 생산 공간 기획 (1편) 이번에 쓸 이야기는 현재 진행 중인 가게의 상황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새로운 도전이기도 하기 때문에 기대가 되면서도 몹시 떨립니다. 현재 가게의 한계점 극복 현재 운영중인 가게는 전통시장 안에 있는 10평이 안 되는 공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한정된 공간에서 생산, 조리, 판매, 배달 등 많은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업무의 효율성도 한계가 있고, 일하는 사람의 피로감이 높아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별도의 공간을 얻어 일부 기능을 이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 운영 중인 가게는 높은 유동인구의 장점을 살려 판매를 위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공간에서는 재료 준비, 반죽, 초벌 작업 등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습니다. 생산을 책임져 줄 점포 계약 이번 가게를 얻을 때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추석 명.. 2023. 8. 5.
[전집 창업 연구] 동그랑땡 반죽에 대한 이해와 연구 전집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은 무엇일까? 전 집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저는 반죽이라고 답하겠습니다. 동그랑땡, 김치전, 파전, 녹두전도 어떤 재료로 어떻게 반죽을 만드냐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달라집니다. 그중에서 가장 다양하게 활용되며, 집마다 개성이 강한 반죽은 동그랑땡 반죽입니다. 동그랑땡 반죽은 분쇄육, 두부 등을 주재료로 야채와 양념재료를 혼합해서 만들며, 동그랑땡뿐 아니라 깻잎, 고추, 표고버섯 속에 넣어 다양한 모양의 전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동그랑땡 반죽은 각 집마다 다르지만 분쇄된 고기, 분쇄육과 다진 야채, 양념을 넣어 혼합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거기에 두부나 다른 식재료를 넣는 경우도 있지만, 저희 전집의 경우 두부는 넣지 않고 있습니다. 수많은 과정을 거쳐, 현재 .. 2023. 7. 20.
유명한 전집의 사이드 메뉴는 무엇일까? 예전 글에서 전집 창업 후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가게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이드메뉴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전집의 대표 사이드메뉴는 비수기(비가 안오는 때)에 고객을 유입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가게의 하나의 아이덴티티가 되어 고객이 우리 가게를 떠올리는 하나의 키워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유명 전집들의 사이드 메뉴를 살펴보고, 어떤 방향으로 정체성이 생겼는지 고찰해보고자 합니다. 전집 창업, 이것만 하면 기본 매출은 나온다 전집을 운영하며 이것저것을 해본 입장으로 창업을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몇 자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제가 작성한 이전 글들을 참고해 주 lab-dining.com 우이락과 홍어무침 .. 2023. 7. 6.
동네전집, 장사가 안된다고 제발 신메뉴 만들지 마세요 전이 안 팔리는 날에 하면 안 되는 것 요즘 같이 무더위가 기승하는 날이면 시원한 음식과 음료를 제외한 따뜻한 음식점들은 매출이 저조합니다. 전집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더울 때는 손님이 많지 않습니다. 이때 스멀스멀 올라오는 욕구가 있는데요. 바로, 냉면이나 콩국수 등 시원한 메뉴를 만들어 손님에게 팔아보고자 하는 신메뉴 창작 욕구입니다. 개인적으로 인력과 유동인구가 많고, 점포의 규모가 큰 곳에서는 해도 되는 방법이지만, 일반 전집의 경우 작은 평수와 상권이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전집에서 냉면이나 콩국수를 팔아봤자 전문점이 아닌 전집으로 먹으러 오는 손님이 없을뿐더러, 전이 필요해서 가게를 찾은 손님들에게 전문점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치 노.. 2023. 7. 4.